페이지

9/13/2011

L'essai concernant la mort (죽음에 관한 에세이)


Georges de la Tour, Madeleine à la veilleuse, 1630/35, Louvre
   Dans la salle ombré, une femme regardait calmement une bougie brûlant. on ne sait pas pourquoi elle avait le crâne sur sa genou, or, elle n'avait aucun horreur et d'avoir peur. d'autre face, la lumière et la sombre sont comparées dramatiquement, ceux-ci nous disent qu'elle était en trains de considérer quelque chose. Voilà, ce tableau est la peinture de Francesco Trevisani(1656-1746), Il nous a montré la pensée en ce qui concerne la mort et la vie, la vie et la mort qui sont comme la contraste entre la lumière et sombre restent à côté de nous. De l'homme qui vivait dans l'autrefois à l'homme de nos jours, l'homme a toujours peur sur la mort. Parce que la mort est fatale de notre vie. "Memento mori" évoque le sens que ne pas oublier ce que la mort existe à côté de nous et "Memento mori" est symbolisé  souvent par la crâne. Peut-être, elle a pensée la mort qui l'irait abordé. 

  어두운 방, 한 여성이 조용히 타오르는 촛불을 보고 있다. 왜 그녀의 무릎위에 해골이 올려져있는지는 모르지만, 그녀는 어떠한 공포나 두려움은 없다. 다른 측면에서, 빛과 어둠은 극적으로 대조되고 있고, 이것은 그녀가 무언가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고 있을을 보여준다. 
  이 그림은 Francesco Trevisani 의 작품으로 삶과 죽음에 대한 생각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삶과 죽음은 빛과 어둠의 대조처럼 우리곁에 머물러 있다. 오래전의 사람부터 현대인까지 인간은 언제나 죽음을 두려워한다. 왜냐하면 죽음은 우리의 숙명이기 때문이다. "Memento mori"는 "죽음이 우리곁에 있음을 있지 마라"를 의미하며, 그것은 종종 인간의 해골로 상징된다. 아마도 그녀는 다가오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D'autre côté, il y a l'autre type de la mort, celui-ci est la "suicide". Certains personnes choisissent le moment de sa mort, ils s'est terminés sa propre vie. pourquoi? En interrogeant cette question, lisez cette phrase.  

  다른 측면에서 보면, 또다른 형태의 죽음이 존재한다. 그건은 바로 "자살"이다, 몇몇 사람은 자신의 죽음을 선택하고, 그들 스스로 자신의 삶을 종료한다. 왜일까? 이 질문을 해보며 다음 문장을 읽어보자.

4. Amoureux de la mort? C'est trop dire d'une moitié; half in love with easeful death (Keats) : la mort libérée du mourir. J'ai alors ce fantasme : une hémorragie douce qui ne coulerait d'aucun point de mon corps, une consomption presque immédiate, calculée pour que j'aie le temps de désouffrir sans avoir encore disparu. je m'installe fugitivement dans une pensée fausse de la mort (fausse comme une clef faussée) : je pense la mort à côté : je la pense selon une logique impensée, je dérive hors du couple fatal qui lie le mort et la vie en les opposant.

"S'abîmer, Fragments d'un discours amoureux, Roland BARTHES, Edition du SEUIL, 27, rue Jacob, Paris VIe, 1977, p. 17" 

죽음에 대한 애정? 그것은 절반은 이야기한 것이다. love with easeful death (Keats) 에 나와있는 half 에는 죽는것에 대한 자유로운 죽음이 나와있다. 나는 직접적이고, 사라지는 것에 대한 참아낼수 없는 순간을 갖지 않아도 되는 부드러운 손실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다. 나는 도피하듯 죽음에 대한 틀린(위조된 열쇠 같은) 생각에 자리한다. 나는 가까이 있는 죽음을 생각할 수 없는 논리로까지 생각한다. 나는 죽음과 삶이라는 숙명적인 커플에 거부하여  표류하고있다. 

"S'abîmer, Fragments d'un discours amoureux, Roland BARTHES, Edition du SEUIL, 27, rue Jacob, Paris VIe, 1977, p. 17"

  Il y a deux morts différents. la mort choisissable et non-choisissable, comme la mort naturelle et le suicide. bien que l'homme veut vivre longuement, certains gens se suicide pour choisir sa fin, cette situation n'est pas normal. Mais, on doit penser à l'autre face : par exemple, il y a une homme qui s'est pris au plafond, au-dessous de lui, une lettre était mis calmement. Après, sa femme et ses enfant est arrivés sa maison et ils voient le corps mort de son mari ou son père. après cette accident, la police a vérifié le cas de sa mort, et elle a annoncé ce qu'il s'est suicidé à cause de la dette et la faillite en voulant l'assurance qui aide de vivre à sa famille.  
  Malheureusement, dans la société de nos jours, c'est d'un portrait-robot des pères, ici, on doit considérer le cas de la suicide. Cette exemple n'est pas exactement la raison précise qui nous donne l'explication, mais il nous aide à la savoir, comme la philosophie de Arthur Schopenhauer, si l'homme perdait sa propre chose le plus précieuse, il serait le plus faible. cette faiblesse nuit son identité et sa confiance personnelle, finalement, il irait perdu sa valeur de vivre, et après, il choisirait le suicide pour qu'il refuse sa propre destin.


  여기에 다른 두종류의 죽음이 있다. 선택할 수 없는 죽음과 선택할 수 있는 죽음. 다른 표현으로는 자연적인 죽음과 자살. 인간은 더 오래 살고자 하지만, 몇몇 사람은 그들의 마지막을 선택하기 위해 자살한다. 이 현상은 정상적이지 않다. 하지만, 다른 측면을 생각해보자. 예를들어 여기에 목매달아 죽은 한 사람이 있다. 그의 아래에는 편지 하나가 조용히 놓여있다. 그의 부인과 아이들이 집에 도착했을때, 그녀의 남편 혹은 그들의 아버지를 발견한다. 이 사건 이후 경찰들은 그의 죽음의 이유를 확인하고, 빚과 파산때문에 그의 가족들에게 돌아갈 보험을 바라며 자살했다고 발표한다.
  불행이도, 우리의 사회에서, 이러한 일은 아버지들의 전형 중 하나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자살의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 예시는 정확히 설명되는 이유는 아니다. 하지만 우리가 그것을 아는것에 도움을 준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에서처럼 인간은 자신의 최고로 소중한 무언가를 잃어버리면, 그는 무척 무기력해진다. 이러한 무기력함은 그의 정체성과 스스로에 대한 신뢰를 해치게 되고, 결국에는 그의 삶의 가치를 잃어버린다. 그리고 그 다음, 그는 자신의 운명을 거부하기 위하여 자살을 선택한다.



MARINA ABRAMOVIC

Carrying the Skeleton, 2008
framed chromogenic print
framed: 81 1/4 x 72 1/4 inches (206.4 x 183.5 cm)
edition of 9 with 2 APs
© Marina Abramovic
Courtesy of the artist and Sean Kelly Gallery, New York
  Dans sphère du art, d'autrefois à maintenant, nous dit esthétiquement le destin humain qui est mortel, la mort est utilisée par les artistes pour montrer la limite d'homme.  N'import qui, ne peux pas échappe la mort. L'art a mis philosophiquement l'attention sur ce point de vue. il nous dit "tous les hommes mourront dans son propre destin, la mort est déjà décidée, donc, il le faut valoir sur sa vie quotidienne, ceci est une seule chose que nous en pouvons.". Beaucoup d'oeuvres nous en veulent, ici, on peut savoir la situation de nos jours que nous avons déjà dit,  franchement, la vie quotidienne est difficile de vivre.
  
  La suicide aussi, certains oeuvres l'ont utilisé au concept qui y avait mêlé, comme les souffrances du jeune Werther, pour exprimer la tristesse forte ou l'échappe vers la dentin misérable. cette scène dramatique nous donne le sens misérable comme l'héros sur le théâtre triste. La vie est toujours cruelle pour les gen qui vivent les jours quotidiens.

  미술의 영역에서는 옛날부터 지금까지 우리에게 죽을수밖에 없는 인간의 운명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예술가들은 죽음을 인간의 한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누구도 죽음을 피해갈 수 없다. 예술은 철학적으로 이 시각에 주의를 두었다. 예술은 우리에게 이야기한다. "모든 인간은 그의 운명대로 죽는다. 죽음은 이미 결정되어있다. 그래서, 우리는 각자의 하루하루에 가치를 두어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할수 있는 하나뿐인 방법이다.". 많은 작품들이 우리에게 이것을 바라며, 여기에서, 우리는 방금 전 이야기한 우리 현재의 상황을 알 수 있다. 솔직히, 매일매일의 삶은 살아가기 힘들다.

  자살역시도, 몇몇 작품들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처럼 슬픔 혹은 비극적인 운명에서의 도망을 표현하기 위하여 그것과 연관된 컨셉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드라마틱한 장면은 우리에게 마치 비극에서의 주인공처럼 비참한 감정을 전해준다. 삶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언제나 잔인하다.




14. Septembre. 2011
Taeyang YIM (Chatviolet SOLEIL)

댓글 없음:

댓글 쓰기